-
이따가 있다가 – 의미와 쓰임 차이 정리 [한글 맞춤법 시리즈 19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9. 15:00
“방에 조금만 이따가 나갈게.” → ❌“지금은 바쁘니까 있다가 통화하자.” → ❌👂 둘 다 발음은 비슷하지만,‘이따가’와 ‘있다가’는 쓰임이 전혀 다릅니다.오늘은 이 두 표현을 정확하게 구별하는 법을 정리해 드립니다. 1. 이따가 – 시간 부사뜻: 조금 지난 뒤에, 나중에를 의미하는 부사 (나중에 조금 뒤에)바른 예시우리 이따가 영화 보자이따가 단둘이 얘기하자틀린 예시“지금은 바쁘니까 있다가 통화하자” → ❌→ 시간 경과 의미라면 '이따가'가 올바름말맛 TIP“조금 이따가”는 의미 중복!→ ‘이따가’ 자체에 이미 ‘조금 뒤에’라는 뜻이 포함돼 있습니다.💡 2. 있다가 – 동사 + 연결어미뜻: ‘있다’(상태) + 연결어미 ‘-다가’ (머무름 → 행동)바른 예시여기 있다가 갈게방에 있다가 나왔어틀..
-
가까스로 간신히 겨우 – 미묘한 뉘앙스의 차이 [한글 맞춤법 시리즈 18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9. 08:11
“시험에 가까스로 붙었어.”“그는 겨우 이겼다고 자랑하더라.”“간신히 밥은 먹었는데 배가 불러.” 👂 자주 쓰는 말들이지만,위 표현들은 ❌ 모두 어색한 조합입니다.‘가까스로’ ‘간신히’ ‘겨우’는비슷해 보여도 각각 다른 뉘앙스와 쓰임새를 가진 단어들입니다.오늘은 이 세 표현의 의미 차이와 올바른 사용법을 정확히 짚어드립니다. 1. 가까스로 – 실패 직전, 겨우 성공뜻: 거의 실패할 뻔한 상황에서 아슬아슬하게 성공함바른 예시가까스로 지각은 면했다가까스로 버스에 탔다가까스로 위험을 피했다잘못된 예시“시험에 가까스로 붙었어” →❌ 일상에서는 혼용해서 많이 쓰지만,‘가까스로’는 보통 지각·위기 탈출·도착 같은 상황에 더 자연스럽습니다.말맛 TIP시험 결과에는 (과정이 힘든) ‘간신히’가 더 어울립니다.💡 ..
-
찝쩍 찍접 찝적 – 표준어 비표준어 정리 [한글 맞춤법 시리즈 17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8. 14:23
“왜 이렇게 찍접거려.”“걔 자꾸 찝적대서 짜증나.”“찝쩍대는거 진짜 별로야.” 👂 다들 들어본 말들이죠? 그런데 이 중 진짜 표준어는 하나뿐! 입니다.오늘은 찝적, 찍접, 찝쩍 중국어사전에 등록된 올바른 표현이 뭔지 정리해봅니다. 1. 찝쩍 찝쩍대다 – 표준어 뜻: 남을 귀찮게 자꾸 건드리거나 성가시게 구는 태도올바른 예시자꾸 찝쩍대지 마찝쩍거려서 불쾌했어말맛 TIP‘찝쩍거리다/찝쩍대다’ 둘 다 표준어입니다.💡 2. 찝적 찍접, 찝적대다 찍접대다 – 비표준어 뜻: (×) ‘찝쩍대다’를 잘못 발음하거나 쓴 경우 (×) 찝쩍대다의 방언 혹은 발음 혼동형 표현 흔히 잘못 쓰는 말버릇찝적(X), 찍접(X)사전에도 없습니다틀린 예시“찝적거리지 마” → ❌“맨날 찍접대” → ❌말맛 TIP입에 붙는..
-
아등바등 칠흑 느지막이, 아둥바둥 칠흙 느즈막이 - 구별법 [한글 맞춤법 시리즈 16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8. 08:01
아둥바둥 살아가는 기분이야.밖이 칠흙같이 어두워.오늘은 좀 느즈막이 일어났지 뭐야. 👂 누구나 쓰는 말 같지만, 아둥바둥·칠흙·느즈막이는 모두 ❌ 비표준어입니다.바른 표기는 아등바등·칠흑·느지막이예요.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이 세 표현을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 1. 아등바등 표준어, 아둥바둥 비표준어뜻: 필사적으로 애를 쓰며 버둥거리는 모양바른 예시아등바등 살아가는 삶이 지쳤어 ✅그는 아등바등 일만 하며 시간을 보냈다 ✅잘못된 예시“요즘 너무 아둥바둥 살아가는 기분이야” ❌→ 아등바등(O)말맛 TIP사전에는 ‘‘아등바등’만 표준어로 등재돼 있습니다.💡 2. 칠흑 표준어, 칠흙 비표준어뜻: 옻칠처럼 매우 짙고 어두운 상태바른 예시칠흑 같은 밤길이 무서웠다 ✅방 안은 칠흑처럼 깜깜했다 ✅잘못..
-
붓다 붇다 붙다 뜻 차이 – 헷갈리는 맞춤법 동사 [한글 맞춤법 시리즈 15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7. 17:00
“컵에 물을 붇고 티백을 넣었어.”“면이 오래돼서 다 불어버렸네.”“축하해줘. 나 시험에 붇었어!”👂 전부 자주 쓰는 말이지만, 사실은 ❌ 틀린 표현입니다. 오늘은 자주 틀리는 동사‘붓다’, ‘붇다’, ‘붙다’세 가지의 뜻 차이와 올바른 맞춤법을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이 세 동사는 발음이 비슷하고 쓰임도 비슷해 보여서 자주 혼동되지만,사실은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1. 붓다 – 액체나 가루를 따를 때 뜻: 액체나 가루 등을 컵·냄비 등 용기에 따르다올바른 예시물을 컵에 붓다커피 가루 위에 물을 붓고 기다렸다/ 부어 담았다.틀린 예시“물을 붇고 티백을 넣었다” → ❌→ 붇다(X) → 붓다(O) 2. 붇다 – 음식이 퍼져 부피가 커질 때 뜻: 물기를 머금어 퍼지거나 부피가 커지는 상태올바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