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할 역활 - 표준어는 무엇일까? [한글 맞춤법 시리즈 24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8. 1. 15:51
“그는 중요한 역활을 맡았어.” → ❌“부모의 역활이 정말 중요해.” → ❌👂말할 때는 자연스럽게 들리지만,글로 쓸 때는 은근히 많이 틀리는 단어, 바로 ‘역할’입니다.오늘은 ‘역할 vs 역활’의 바른 표기와 헷갈리는 이유를 정확히 정리해드립니다. 1. 역할 – 바른 표현 (한자어)뜻: 맡은 바 직책이나 기능, 또는 해야 할 일.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된 바른 단어입니다.바른 예시그는 이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부모의 역할이 아이의 성장에 큰 영향을 준다.각자의 역할에 충실해야 좋은 결과가 나온다.말맛 TIP‘역할’은 ‘역(役: 맡은 일)’과 ‘할(割: 나눌 몫)’이 결합된 한자어입니다.→ ‘역할’은 발음은 ‘역활’처럼 들려도, 표기는 반드시 ‘역할’이 맞습니다!💡 2. 역활 – 잘못된..
-
엄한 사람 엄한 소리, 애먼 엄한 - 자주 틀리는 표현 [한글 맞춤법 시리즈 23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31. 17:36
“엄한 사람 잡네.” → ❌“애먼 사람 잡네.” → ✅👂 일상 대화에서는 “엄한 사람”이라고 많이들 말하지만,맞춤법으로는 ‘애먼 사람’이 바른 표현입니다.오늘은 “애먼 vs 엄한”의 정확한 뜻과 쓰임을 비교하며,“애먼 사람 잡는다”는 표현의 올바른 사용법을 알려드립니다. 1. 애먼 – 바른 표현 (억울한, 관련 없는)뜻: 아무런 잘못이 없거나 관계없는 사람·대상을 이르는 말→ 억울하게 피해를 본 경우에 주로 사용바른 예시애먼 사람 잡네애먼 소리 하지 마애먼 말로 오해했어말맛 TIP‘애먼’은 ‘엉뚱한’, ‘아무 관련 없는’, ‘억울한’의 의미입니다.억울하게 누명을 쓴 사람을 지칭할 때 ‘애먼 사람’이라고 합니다.💡 2. 엄한 – 틀린 사용 (뜻은 다르지만 헷갈리기 쉬움) 뜻: 아주 심하고 매서운..
-
맞히다 맞추다 마치다 – 헷갈리는 동사 구별법 [한글 맞춤법 시리즈 22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31. 07:46
맞히다 맞추다 마치다 – 정답은 뭘까? 자주 틀리는 동사 구별법“문제를 맞추다” → ❌“알람을 맞히다” → ❌맞췄다. 맞혔다. 마쳤다.👂 말할 땐 자연스럽지만,글로 쓰면 오타가 너무 많은 표현들입니다.오늘은 ‘맞히다’와 ‘맞추다’의 정확한 뜻과 쓰임을 정리하고,부가적으로 자주 혼동되는 ‘마치다’도 간단히 함께 소개합니다. 1. 맞히다 – 정답 명중 뜻: 정답을 알아내거나, 대상에 명중시키다바른 예시문제의 정답을 맞혔다그는 활로 과녁을 정확히 맞혔다퀴즈를 다섯 개나 맞혔어!잘못된 예시“알람을 맞혔어” → ❌“시간을 맞혔어” → ❌→ 이때는 *맞추다’가 맞습니다말맛 TIP‘정답/화살’처럼 대상에 무언가가 '딱 맞는’ 상황 = ‘맞히다’💡 2. 맞추다 – 조정 대응 맞닿게 하다뜻: 서로 맞게 만들거..
-
내로라하는 내노라하는 - 자주 틀리는 맞춤법 [한글 맞춤법 시리즈 21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30. 15:22
내로라 vs 내노라 – 흔한 맞춤법 실수“그 분야에서 내노라하는 사람들이 모였다.” → ❌“내노라하는 스타들이 총출동했대.” → ❌👂 말할 땐 자연스럽지만,글로 쓰면 맞춤법 오류인 표현이 있습니다.오늘은 ‘내로라 vs 내노라’처럼자주 혼동되는 관용 표현의 정확한 표기를 정리해드립니다. 1. 내로라 – 바른 표현 (관용 표현) 뜻: 이름이 알려졌거나 실력이 뛰어난 사람을 이르는 말→ “대표적인”, “쌍벽을 이루는” 정도의 의미로 자주 쓰입니다. 바른 예시내로라하는 스타들이 총출동했다내로라하는 셰프들이 한자리에 모였다각 분야의 내로라하는 전문가들을 초청했다말맛 TIP‘내로라’는 동사처럼 활용되지 않으며,항상 ‘내로라하는 + 명사’ 구조로 사용됩니다.💡 2. 내노라 – 틀린 표현‘내노라’는 표준국어..
-
기다릴게 기다릴께 – 가장 많이 틀리는 오타 [한글 맞춤법 시리즈 20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30. 07:03
“연락 기다릴께.” → ❌ “잠깐 보고 올께.” “내가 먼저 갈께.” → “금방 연락 줄께.” 👂 너무 익숙한 표현들인데, ❌ 모두 오타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사람들이 자주 헷갈리는 ‘-게’ vs ‘-께’ 오타를‘기다릴게’를 중심으로 갈게·볼게·줄게·올게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1. 기다릴게 – 바른 표현 (동사 + 종결어미)뜻: “내가 그렇게 하겠다”는 화자의 의지 표현바른 예시연락 기다릴게잠깐 보고 올게내가 먼저 갈게금방 연락 줄게말맛 TIP'기다릴게', '갈게', '볼게', '줄게', '올게'는 모두 ‘-ㄹ게’로 써야 맞습니다.→ ‘-게’는 종결어미. 내가 뭘 하겠다는 의지를 담습니다.💡 2. 기다릴께 – 오타 (비표준어)‘기다릴께’, ‘갈께’, ‘올께’, '볼께'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