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
Yesterday
-
Total
-
  • 맞히다 맞추다 마치다 – 헷갈리는 동사 구별법 [한글 맞춤법 시리즈 22화]
    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31. 07:46
    반응형

    맞히다  맞추다 마치다 – 정답은 뭘까? 자주 틀리는 동사 구별법
    “문제를 맞추다” → ❌
    “알람을 맞히다” → ❌

    맞췄다. 맞혔다. 마쳤다.
    👂 말할 땐 자연스럽지만,
    글로 쓰면 오타가 너무 많은 표현들입니다.
    오늘은 ‘맞히다’와 ‘맞추다’의 정확한 뜻과 쓰임을 정리하고,
    부가적으로 자주 혼동되는 ‘마치다’도 간단히 함께 소개합니다.
     

    맞히다 맞추다 마치다 - 발음은 같지만 헷갈리는 뜻 구분을 쉽게 나타낸 이미지 조명과 사전 배경
    맞히다, 맞추다, 마치다 헷갈리는 뜻 구분


     

    1. 맞히다 – 정답 명중

     
    뜻: 정답을 알아내거나, 대상에 명중시키다

    바른 예시

    • 문제의 정답을 맞혔다
    • 그는 활로 과녁을 정확히 맞혔다
    • 퀴즈를 다섯 개나 맞혔어!

    잘못된 예시

    • “알람을 맞혔어” → ❌
    • “시간을 맞혔어” → ❌
      → 이때는 *맞추다’가 맞습니다

    말맛 TIP

    ‘정답/화살’처럼 대상에 무언가가 '딱 맞는’ 상황 = ‘맞히다’💡 


     
     

    2. 맞추다 – 조정 대응 맞닿게 하다

    뜻: 서로 맞게 만들거나, 조율하거나, 눈·입 등을 마주보게 하다

    바른 예시

    • 알람을 7시로 맞추다
    • 퍼즐 조각을 맞췄다
    • 의견을 맞춰서 결정하자

    잘못된 예시

    • “정답을 맞췄어” → ❌
      → ‘정답’에는 맞히다가 맞습니다

    말맛 TIP

    ‘시계, 눈, 옷, 입, 타이밍’ 등을 조정하거나 마주보게 하는 상황 = ‘맞추다’💡 

     

    반응형


     


    3. 마치다 – 일을 끝낼 때

    뜻: 어떤 일을 끝내거나 마무리하다

    • 수업을 마치고 나왔다
    • 오늘 업무를 마쳤다
      맞히다/맞추다와는 다르게, 완결 의미를 가집니다

    혼동 포인트

    👉 “회의를 맞췄다”라고 쓰는 경우 많음 → ❌
          → ‘회의를 마쳤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 ‘맞치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없는 말, 즉 ❌ 존재하지 않는 비표준어입니다
     

    핵심 요약

     

    표현 표준어 여부 주요 의미 바른 예시 자주 틀리는 예시
    맞히다 ✅ 맞음 정답·명중 정답을 맞히다, 과녁을 맞히다 알람을 맞히다 ❌
    맞추다 ✅ 맞음 조정·마주보게 함 알람을 맞추다, 의견을 맞추다 정답을 맞추다 ❌
    마치다 ✅ 맞음 일을 끝내다 수업을 마치다, 퇴근을 마치다 회의를 맞췄다 ❌

     

    맞춤법 퀴즈!

    다음 중 올바른 문장을 모두 고르세요:

    1. 오늘 회의를 맞췄어
    2. 정답을 세 문제나 맞췄다
    3. 알람을 6시에 맞췄다
    4. 퀴즈를 다섯 개 맞혔어

    👉 정답: 3번, 4번
    → ‘정답’은 맞히다, ‘알람’은 맞추다, ‘회의’는 마치다가 맞습니다.
     

    한 줄 정리

    정답은 ‘맞히고’, 시계는 ‘맞추고’, 일은 ‘마친다’
    비슷해도 완전히 다른 동사입니다!✏️ 


     

    한글 맞춤법과 헷갈리기 쉬운 표현을 정리하는 연재형 국어블로그 말맛연구소 시리즈 고정 캐릭터 -말맛연구소 시리즈는 계속됩니다 라고 말하는 이미지
    헷갈리는 맞춤법, 말맛연구소가 정리해드립니다!

     
     

    다음 화 예고

    🔜 “엄한 사람 잡네?"- '애먼 vs 엄한' 자주 틀리는 표현 [한글 맞춤법 시리즈 23화]에서 이어집니다.
     
    🧐  말맛연구소 구독하고,
    바른 표현으로 글쓰기 자신감을 키워보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