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할 수 있다' 띄어쓰기 -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4종 [한글 맞춤법 시리즈 11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5. 21:01
"할수있어.”“너뿐이야.”“못할 이유는 없잖아.”“같이가자.”👂 말할 땐 자연스럽지만, 글로 쓰면 전부 ❌ 틀린 표현입니다. 오늘은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대표 표현들 –‘수’, ‘뿐’, ‘못’, ‘같이’, 그리고 헷갈리는 ‘못하다’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1. 할 수 있다, 볼 수 있다 – 가능성 표현 띄어쓰기 가능성 표현은 무조건 띄어 씁니다.‘할 수 있다’, ‘볼 수 있다’처럼 ‘수’는 의존 명사라서 반드시 띄어 써야 맞습니다.예시 문장너도 할 수 있어. 나는 그걸 볼 수 있다. ❌ 할수있어 / 볼수있다 → 틀림 2. 너 뿐이야, 할 뿐이다 – 제한 의미 띄어쓰기제한 의미일 땐 띄어 씁니다.'뿐'도 의존 명사입니다. 앞말과 항상 띄어 써야 맞습니다.예시 문장너 뿐이야, 나에겐. 보기만 할 뿐..
-
낫다 낳다 낮다 - 헷갈리는 동음이의어 [한글 맞춤법 시리즈 10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5. 18:55
"병이 낳다", "감기가 낳다”“그게 더 낳은 방법이지.” "문제가 또 다른 문제를 낫다."“그 사람 키가 낫더라.”👂 들을 땐 자연스럽지만, 쓰면 ❌ 전부 틀린 표현입니다. 오늘은 자주 헷갈리는 동음이의어‘낫다’, ‘낳다’, ‘낮다’확실하게 구별해드립니다. 1. 낫다 - 병이 회복되다비교해서 더 나은 상태예시 문장병이 낫다. 병이 나았다. 감기가 낫다. 감기가 빨리 나았어 이게 더 나은 방법이야 ❌ 더 낳은 것 같아/ 더 낫은 것 같아 → 틀림 2. 낳다 - 출산 또는 결과를 만들어내다예시 문장아이를 낳다 성과를 낳다 ❌ 아이를 낫다. 성과를 낫다 → 틀림 3. 낮다 - 높이 수준이 아래일 때예시 문장키가 낮다 점수가 낮다 ❌ “그 사람 점수가 낫더라” → 높낮이 비교 의미에선 낮다가 맞습니다. 말..
-
깨끗이 깨끗히- 흔한 맞춤법 실수 [한글 맞춤법 시리즈 9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4. 14:00
“방을 깨끗히 정리해줘.” → ❌“책상을 깨끗히 치웠어.” → ❌👂 귀에는 익숙하지만,‘깨끗히’는 표준어가 아닙니다.오늘은 ‘깨끗이 vs 깨끗히’처럼 자주 틀리는 부사 맞춤법을 정확히 짚어드립니다. 1. 깨끗이 – 바른 표현(부사형 어미 '-이')뜻: '깨끗하다'라는 형용사에서 파생된 부사형용사를 부사로 만들 땐 일반적으로 ‘-이’를 붙입니다. 바른 예시방을 깨끗이 치웠다손을 깨끗이 씻고 나왔다거실을 깨끗이 정리했다말맛 TIP‘깨끗하게’도 맞는 표현입니다.💡 → “깨끗이”는 간결한 서술형,→ “깨끗하게”는 상태의 강조나 부연설명에 어울립니다. 2. 깨끗히 – 잘못된 표현'깨끗히'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등재되어 있지 않은 비표준어입니다.잘못된 예시“깨끗히 정리해.” “깨끗히 청소했어.” 말..
-
드러나다 들어나다 – 자주 틀리는 표현 바로잡기 [한글 맞춤법 시리즈 8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4. 07:22
“속마음이 조금씩 들어나기 시작했어.”“그의 본심이 드러났다.”두 문장, 익숙하게 들리지만 맞춤법 기준으로는 전혀 다릅니다.‘드러나다’와 ‘들어나다’, 이 중 하나만 표준어입니다. 1. 드러나다 - 표준어 ‘드러나다’는 감춰진 것이 겉으로 나타나다는 뜻입니다.감정, 생각, 진심, 실체 등이 밖으로 드러날 때 쓰는 동사죠.어원: ‘드러내다’의 피동형품사: 동사예시 문장그의 진심이 드러났다.표정에서 감정이 드러났어. 2. 들어나다 - 비표준어 ‘들어나다’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말입니다.‘드러나다’를 잘못 듣거나, ‘들어내다’와 혼동해 생긴 비표준 표현입니다. ❌ 들어나다 = 존재하지 않는 단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없음 말맛 TIP: 이렇게 구분하세요! 표현, 의미, 표준어 여부💡 드러나다감..
-
굳이 구지 – 표준어와 발음 혼동 정리 [한글 맞춤법 시리즈 7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3. 20:10
“그걸 굳이 말해야 돼?”“구지 이렇게까지 해야 해?”두 표현, 자연스럽게 쓰지만 둘 중 하나는 틀린 표현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굳이’와 ‘구지’의 차이를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1. 굳이 - 표준어‘굳이’는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일부러 또는 고집스럽게 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부사입니다.품사: 부사어원: 형용사 ‘굳다’ → 부사형의미: 일부러, 꼭 필요 없지만 강조적으로 행동할 때예시 문장굳이 그렇게까지 안 해도 돼.나는 그 말을 굳이 하지 않았어.‘굳이’는 회화, 설명문, 서술문 어디서든 자주 쓰이는 표준 표현입니다.강조, 반어, 고집스러운 선택 등 다양한 문맥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됩니다. 2. 구지 - 비표준어‘구지’는 ‘굳이’를 빠르게 발음하면서 생긴 잘못된 표기입니다.실제 언중 사용이 있지만, 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