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등바등 칠흑 느지막이, 아둥바둥 칠흙 느즈막이 - 구별법 [한글 맞춤법 시리즈 16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8. 08:01
아둥바둥 살아가는 기분이야.밖이 칠흙같이 어두워.오늘은 좀 느즈막이 일어났지 뭐야. 👂 누구나 쓰는 말 같지만, 아둥바둥·칠흙·느즈막이는 모두 ❌ 비표준어입니다.바른 표기는 아등바등·칠흑·느지막이예요.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이 세 표현을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 1. 아등바등 표준어, 아둥바둥 비표준어뜻: 필사적으로 애를 쓰며 버둥거리는 모양바른 예시아등바등 살아가는 삶이 지쳤어 ✅그는 아등바등 일만 하며 시간을 보냈다 ✅잘못된 예시“요즘 너무 아둥바둥 살아가는 기분이야” ❌→ 아등바등(O)말맛 TIP사전에는 ‘‘아등바등’만 표준어로 등재돼 있습니다.💡 2. 칠흑 표준어, 칠흙 비표준어뜻: 옻칠처럼 매우 짙고 어두운 상태바른 예시칠흑 같은 밤길이 무서웠다 ✅방 안은 칠흑처럼 깜깜했다 ✅잘못..
-
붓다 붇다 붙다 뜻 차이 – 헷갈리는 맞춤법 동사 [한글 맞춤법 시리즈 15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7. 17:00
“컵에 물을 붇고 티백을 넣었어.”“면이 오래돼서 다 불어버렸네.”“축하해줘. 나 시험에 붇었어!”👂 전부 자주 쓰는 말이지만, 사실은 ❌ 틀린 표현입니다. 오늘은 자주 틀리는 동사‘붓다’, ‘붇다’, ‘붙다’세 가지의 뜻 차이와 올바른 맞춤법을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이 세 동사는 발음이 비슷하고 쓰임도 비슷해 보여서 자주 혼동되지만,사실은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1. 붓다 – 액체나 가루를 따를 때 뜻: 액체나 가루 등을 컵·냄비 등 용기에 따르다올바른 예시물을 컵에 붓다커피 가루 위에 물을 붓고 기다렸다/ 부어 담았다.틀린 예시“물을 붇고 티백을 넣었다” → ❌→ 붇다(X) → 붓다(O) 2. 붇다 – 음식이 퍼져 부피가 커질 때 뜻: 물기를 머금어 퍼지거나 부피가 커지는 상태올바른 ..
-
사달이 나다 사단이 나다, 사달 사단- 자주 틀리는 맞춤법 [한글 맞춤법 시리즈 14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7. 07:30
사달이 나다 vs 사단이 나다 – 일상에서 자주 틀리는 표현“회의에서 사단이 났다” → ❌“괜히 사단을 냈다.” → ❌👂 이렇게들 많이 쓰지만,맞는 표현은 바로 ‘사달이 나다’입니다. 오늘은 ‘사달 vs 사단’,비슷하게 들리지만 뜻과 쓰임이 전혀 다른 표현을 비교해볼게요. 1. 사달이 나다 – 바른 표현 관용어뜻: 예상치 못한 사고나 문제, 소란이 발생하다→ 일상 대화에서 문제 발생을 말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바른 예시말 한마디에 사달이 났다괜한 행동 때문에 사달이 났어조용히 넘어갈 줄 알았는데 사달이 났지 뭐야말맛 TIP‘사달’은 사고나 문제 상황을 뜻하는 고유어예요.표준국어대사전에도 “사달이 나다”가 표준 관용어로 등재돼 있습니다.💡 2. 사단이 나다 – 잘못된 표현‘사단’은 원래 ..
-
안절부절못하다 안절부절 하다, 칠칠맞지 못하다 칠칠맞다 [한글 맞춤법 시리즈 13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6. 12:22
“그는 안절부절하다가 결국 울었다.”“진짜 칠칠맞은 사람 같아.”👂 말할 땐 어색하지 않지만, 글로 쓰면 ❌ 틀린 표현입니다. 오늘은 자주 틀리는 국어 맞춤법 중'부정형'을 빼면 틀리는 대표 표현.특히 ‘안절부절못하다’, ‘칠칠맞지 못하다’를 제대로 구별해드립니다. 이 두 표현은 특히 말로 익숙해진 탓에 혼동이 많지만,표준국어대사전과 맞춤법 규정에 따라 정확한 형태를 알아두면 실수 없이 쓸 수 있습니다. 1. 안절부절못하다 - 바른 표현‘못하다’가 꼭 붙어야 맞습니다뜻: 매우 초조하거나 불안해 어찌할 바를 모르는 상태맞는 예시소식을 듣고 안절부절못했다결과가 걱정돼 안절부절못하며 기다렸다2. 안절부절하다 - 틀린 표현틀린 예시그는 안절부절했다계속 안절부절하고 있었다(동사처럼 쓰는 건 문법상 오류!)말맛..
-
가르치다 가리키다 – 의미가 전혀 다른 동사 [한글 맞춤법 시리즈 12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6. 07:30
“그에게 길을 가르쳐줬다.” → ❌“선생님이 띄어쓰기를 가리켜줬어.” → ❌👂 말로는 자연스럽지만,글로 쓰면 맞춤법 오류인 경우가 많습니다.특히 ‘가르치다’와 ‘가리키다’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진 동사입니다.오늘은 이 둘의 정확한 뜻과 쓰임을 정리해드립니다. 1. 가르치다 – 지식 정보를 전달할 때 뜻: 지식, 기술, 개념 등을 배우게 하다→ 교육, 수업, 조언 등에서 사용바른 예시영어를 가르쳤다부모는 자녀에게 예절을 가르친다선생님이 맞춤법을 가르쳐줬다잘못된 예시“길을 가르쳐줬다” → ❌ 길은 지식이 아니라 방향이므로 '가리키다'가 맞음말맛 TIP무언가 이해하게 하는 내용은 ‘가르치다’를 써야 자연스럽습니다.💡 2. 가리키다 – 위치 대상을 지시할 때뜻: 손, 말, 시선 등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