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할 거야, 할거야 할꺼야 – 띄어쓰기 안 하면 오타 [한글 맞춤법 시리즈 26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8. 3. 16:52
"할 거야? 할거야? 할꺼야?""할 것이다. 할 것이야. 할껏이야"많은 분들이 ‘할거야’처럼 붙여 쓰거나, ‘할꺼야’처럼 오타 내곤 합니다.하지만 맞춤법에 따르면, 바른 표현은 바로 ‘할 거야’ '할 것이다' '할 것이야' 입니다.(띄어쓰기 주의!) 오늘은 사람들이 자주 틀리는 표현 중 하나인 ‘할 거야 vs 할꺼야, 할거야’의 바른 표기법을 확실히 정리해드립니다 1. 할 거야 – 바른 표현 (표준어, 띄어쓰기 필수) 뜻: ‘할’ → 동사 하다의 관형형 ‘거야’ → ‘것이야’의 줄임말 즉, “할 거야” = “할 것 + 이야”바른 예시너 그거 할 거야, 말 거야? ✅다음 주에 여행 갈 거야. ✅그건 내가 할 것이야. ✅결국 너도 말할 것이야. ✅말맛 TIP‘것’은 의존 명사라서..
-
풍지박산 풍비박산 – 바른 표현은 무엇일까? [한글 맞춤법 시리즈 25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8. 2. 14:52
“그 집 풍지박산 났대.” → ❌“회사도 풍지박산 났다.” → ❌👂 말할 때는 익숙하지만,정확한 표기는 ‘풍비박산(風飛雹散)’입니다.‘풍지박산’은 사전에 없는 비표준 표현이에요!오늘은 ‘풍비박산’ vs ‘풍지박산’,자주 헷갈리는 관용 표현의 차이를 정리해드립니다. 1. 풍비박산 – 바른 표현뜻: 바람에 날리고 우박처럼 흩어진다는 뜻의 한자어.→ 어떤 일이 완전히 망가지고 사방으로 흩어진 상황을 뜻합니다.바른 예시회사가 풍비박산 나다전 재산이 풍비박산 났다가족이 풍비박산 났다는 소문이 돌았다말맛 TIP👉 ‘풍비(風飛)’는 바람에 날림, ‘박산(雹散)’은 우박처럼 산산조각 난다는 의미예요. 흔히 “풍비박산이 났다” 형태로 사용됩니다.💡 2. 풍지박산 – 잘못된 표현‘풍지박산..
-
역할 역활 - 표준어는 무엇일까? [한글 맞춤법 시리즈 24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8. 1. 15:51
“그는 중요한 역활을 맡았어.” → ❌“부모의 역활이 정말 중요해.” → ❌👂말할 때는 자연스럽게 들리지만,글로 쓸 때는 은근히 많이 틀리는 단어, 바로 ‘역할’입니다.오늘은 ‘역할 vs 역활’의 바른 표기와 헷갈리는 이유를 정확히 정리해드립니다. 1. 역할 – 바른 표현 (한자어)뜻: 맡은 바 직책이나 기능, 또는 해야 할 일.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된 바른 단어입니다.바른 예시그는 이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부모의 역할이 아이의 성장에 큰 영향을 준다.각자의 역할에 충실해야 좋은 결과가 나온다.말맛 TIP‘역할’은 ‘역(役: 맡은 일)’과 ‘할(割: 나눌 몫)’이 결합된 한자어입니다.→ ‘역할’은 발음은 ‘역활’처럼 들려도, 표기는 반드시 ‘역할’이 맞습니다!💡 2. 역활 – 잘못된..
-
엄한 사람 엄한 소리, 애먼 엄한 - 자주 틀리는 표현 [한글 맞춤법 시리즈 23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31. 17:36
“엄한 사람 잡네.” → ❌“애먼 사람 잡네.” → ✅👂 일상 대화에서는 “엄한 사람”이라고 많이들 말하지만,맞춤법으로는 ‘애먼 사람’이 바른 표현입니다.오늘은 “애먼 vs 엄한”의 정확한 뜻과 쓰임을 비교하며,“애먼 사람 잡는다”는 표현의 올바른 사용법을 알려드립니다. 1. 애먼 – 바른 표현 (억울한, 관련 없는)뜻: 아무런 잘못이 없거나 관계없는 사람·대상을 이르는 말→ 억울하게 피해를 본 경우에 주로 사용바른 예시애먼 사람 잡네애먼 소리 하지 마애먼 말로 오해했어말맛 TIP‘애먼’은 ‘엉뚱한’, ‘아무 관련 없는’, ‘억울한’의 의미입니다.억울하게 누명을 쓴 사람을 지칭할 때 ‘애먼 사람’이라고 합니다.💡 2. 엄한 – 틀린 사용 (뜻은 다르지만 헷갈리기 쉬움) 뜻: 아주 심하고 매서운..
-
맞히다 맞추다 마치다 – 헷갈리는 동사 구별법 [한글 맞춤법 시리즈 22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31. 07:46
맞히다 맞추다 마치다 – 정답은 뭘까? 자주 틀리는 동사 구별법“문제를 맞추다” → ❌“알람을 맞히다” → ❌맞췄다. 맞혔다. 마쳤다.👂 말할 땐 자연스럽지만,글로 쓰면 오타가 너무 많은 표현들입니다.오늘은 ‘맞히다’와 ‘맞추다’의 정확한 뜻과 쓰임을 정리하고,부가적으로 자주 혼동되는 ‘마치다’도 간단히 함께 소개합니다. 1. 맞히다 – 정답 명중 뜻: 정답을 알아내거나, 대상에 명중시키다바른 예시문제의 정답을 맞혔다그는 활로 과녁을 정확히 맞혔다퀴즈를 다섯 개나 맞혔어!잘못된 예시“알람을 맞혔어” → ❌“시간을 맞혔어” → ❌→ 이때는 *맞추다’가 맞습니다말맛 TIP‘정답/화살’처럼 대상에 무언가가 '딱 맞는’ 상황 = ‘맞히다’💡 2. 맞추다 – 조정 대응 맞닿게 하다뜻: 서로 맞게 만들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