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난하다 문안하다 – 자주 틀리는 맞춤법 [한글 맞춤법 시리즈 36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8. 22. 21:57
무난하다 문안하다,두 표현은 모두 표준어지만 뜻은 전혀 다릅니다.많은 사람들이 “무난하다”라는 말을 써야 할 자리에실수로 “문안하다”를 쓰곤 하지요. 🤔예를 들어 “이 디자인이 무난하다”가 맞는데,“이 디자인이 문안하다”라고 하면 전혀 다른 의미가 되어버립니다. 오늘은 무난하다와 문안하다의 정확한 뜻과 쓰임을 구별해드리겠습니다. ✅ 1. 무난하다 – 바른 표현뜻: 특별히 문제가 없고 평범하다 / 적당히 괜찮다품사: 형용사활용형: 무난하다 / 무난한 / 무난하게바른 예시오늘 발표는 전반적으로 무난했다. ✅이 옷은 어디에나 무난하게 어울린다. ✅무난하게 합격할 수 있을 것 같다. ✅말맛 TIP“무난하다”는 부정적이지 않고, 무리 없는 상태를 평가할 때 쓰는 긍정적 표현입니다. 💡 2. 문안하다 – 다..
-
묻다 뭍다 – 발음은 같지만 뜻이 다른 맞춤법 [한글 맞춤법 시리즈 34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8. 16. 19:47
묻다 뭍다두 단어는 발음이 같아 헷갈리지만, 뜻과 쓰임은 완전히 다릅니다. 🤔묻다 뭍다를 정확히 구별하지 않으면 문장의 의미가 달라지거나 어색해질 수 있어요.이번 글에서는 묻다와 뭍다의 차이, 예시, 현실 사용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1. 묻다 – 바른 표현뜻덮어 가리다, 파묻다 (물리적 상황)(질문·책임·감정을) 따지거나 감추다 (비유적 상황)품사: 동사활용형: 묻다 / 묻습니다 / 묻겠어요 / 묻었어요 / 묻히다바른 예시흙에 씨앗을 묻다 손에 흙이 묻다 가슴속에 비밀을 묻어두다 네가 한 말을 다시 묻다 잘못의 책임을 끝까지 묻다 말맛 TIP‘묻다’는 덮거나 달라붙는 상황, 그리고 마음속에 감추는 상황 모두에 쓰입니다.💡 2. 뭍다 – 바른 표현 뜻: 물 위에 있던 것이 육지로 ..
-
설레다 설렘 설레이다 설레임 – 표준어와 비표준어 [한글 맞춤법 시리즈 33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8. 12. 17:00
설렘이 맞을까요, 설레임이 맞을까요? 🤔그리고 설레다가 맞을까요, 설레이다가 맞을까요?말로 할 때는 구별이 안 되지만, 글로 쓸 때는 반드시 구별해야 하는 표현입니다. 오늘은 설레다 설렘만이 표준어이고,설레이다 설레임이 왜 비표준어인지 명확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1. 설레다 설렘 – 바른 표현설레다: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마음이 가볍게 흔들리다라는 뜻의 표준어.형용사이면서 동사로도 쓰이며, 이미 상태 변화를 포함하므로 피동 접사 ‘-이-’를 붙이지 않음.→ ‘설레이다’는 틀린 표현.설렘: ‘설레다’의 명사형.어간 설레- + -ㅁ에서 ‘이’가 탈락해 ‘설렘’이 됨.발음 [설렘]이며, ‘설레임’은 비표준.바른 예시내일 여행을 떠난다고 생각하니 가슴이 설렌다. ✅첫 만남의 설렘이 아직도 생생하다. ✅새..
-
라고요 다고요 라구요 다구요 – 헷갈리는 구어체 맞춤법 정리 [한글 맞춤법 시리즈 30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8. 9. 06:50
"할라고요 할라구요""알았다고요 알았다구요""힘들더라고요 힘들더라구요" 👂 말할 땐 다들 자연스럽게 쓰지만, 글로 쓸 땐 반드시 구별해야 하는 표현들입니다. 오늘은 자주 틀리는 '라고요 / 다고요 / 더라고요'의 *바른 표기와 잘못된 구어체 표현*을 정확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1. 라고요 다고요 더라고요 - 바른 표현이 표현들은 모두 ‘-고요’ 구조를 가진 표준 종결 어미입니다.진술, 확인, 강조할 때 사용하는 말이에요.바른 예시그 사람이 왔다고요? ✅힘들었다고요? ✅재밌더라고요. ✅지금 하라고요? ✅말맛 TIP표준어는 모두 ‘-고요’ 형태입니다.'-구요'는 발음을 적은 구어체 표기일 뿐, 사전에 없는 비표준이에요! 2. 라구요 다구요 더라구요 - 잘못된 표현이 표현들은 말할 때처럼 보..
-
되게 돼게 디게 – 헷갈리는 맞춤법 [한글 맞춤법 시리즈 28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8. 7. 19:30
“되게 웃겨” vs “돼게 웃겨” vs “디게 웃겨”“되게 맛있어” vs “디게 맛있다니까?”말로 들으면 비슷하지만, 표준어는 단 하나!헷갈리기 쉬운 이 세 표현의 정확한 차이를 지금 정리해볼게요 ✅ 1. 되게 – 바른 표현 (표준어)뜻: ‘아주’, ‘매우’, ‘정말’이라는 뜻의 강조 부사→ 원래는 ‘되다 + -게’의 활용형에서 왔지만,지금은 ‘정말로’, ‘엄청’처럼 쓰는 강조 표현으로 자리 잡았어요.바른 예시오늘 날씨 되게 덥다 그 영화 되게 재밌었어 너 오늘 되게 예쁘다? 말맛 TIP“되게”는 “아주, 정말”로 바꿔도 말이 되면 OK!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정식 표준어입니다.💡 2. 돼게 – 잘못된 표기 (오타) ‘돼게’는 존재하지 않는 표현입니다.‘되게’를 잘못 들은 발음 그대로 쓴 오타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