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반의 준비’만 맞는 이유 – '만만 만발의 준비' 구별법 [한글 맞춤법 시리즈 32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8. 11. 18:00
만반의 준비, 만만의 준비, 만발의 준비…어떤 게 맞는 말일까요? 🤔행사나 시험, 중요한 일을 앞두고 자주 쓰는 표현이지만,막상 쓰려면 헷갈려서 잘못 적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만반의 준비의 정확한 의미와만만의 준비, 만발의 준비가 왜 틀린 표현인지한 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1. 만반의 준비 – 바른 표현 *만반(萬般)*은 ‘온갖 종류’ 또는 ‘모든 일’을 뜻하는 한자어입니다.따라서 만반의 준비는 ‘모든 준비를 완벽하게 갖춤’이라는 의미예요.발음은 [만바느]로 나지만, 표기는 반드시 만반의 준비입니다.바른 예시시험을 위해 만반의 준비를 했다. ✅손님 맞을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비상사태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갖추다. ✅말맛 TIP‘만반’은 만(萬, 일만 만) + 반(般, 가지 반)의 결..
-
되게 돼게 디게 – 헷갈리는 맞춤법 [한글 맞춤법 시리즈 28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8. 7. 19:30
“되게 웃겨” vs “돼게 웃겨” vs “디게 웃겨”“되게 맛있어” vs “디게 맛있다니까?”말로 들으면 비슷하지만, 표준어는 단 하나!헷갈리기 쉬운 이 세 표현의 정확한 차이를 지금 정리해볼게요 ✅ 1. 되게 – 바른 표현 (표준어)뜻: ‘아주’, ‘매우’, ‘정말’이라는 뜻의 강조 부사→ 원래는 ‘되다 + -게’의 활용형에서 왔지만,지금은 ‘정말로’, ‘엄청’처럼 쓰는 강조 표현으로 자리 잡았어요.바른 예시오늘 날씨 되게 덥다 그 영화 되게 재밌었어 너 오늘 되게 예쁘다? 말맛 TIP“되게”는 “아주, 정말”로 바꿔도 말이 되면 OK!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정식 표준어입니다.💡 2. 돼게 – 잘못된 표기 (오타) ‘돼게’는 존재하지 않는 표현입니다.‘되게’를 잘못 들은 발음 그대로 쓴 오타일 ..
-
역할 역활 - 표준어는 무엇일까? [한글 맞춤법 시리즈 24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8. 1. 15:51
“그는 중요한 역활을 맡았어.” → ❌“부모의 역활이 정말 중요해.” → ❌👂말할 때는 자연스럽게 들리지만,글로 쓸 때는 은근히 많이 틀리는 단어, 바로 ‘역할’입니다.오늘은 ‘역할 vs 역활’의 바른 표기와 헷갈리는 이유를 정확히 정리해드립니다. 1. 역할 – 바른 표현 (한자어)뜻: 맡은 바 직책이나 기능, 또는 해야 할 일.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된 바른 단어입니다.바른 예시그는 이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부모의 역할이 아이의 성장에 큰 영향을 준다.각자의 역할에 충실해야 좋은 결과가 나온다.말맛 TIP‘역할’은 ‘역(役: 맡은 일)’과 ‘할(割: 나눌 몫)’이 결합된 한자어입니다.→ ‘역할’은 발음은 ‘역활’처럼 들려도, 표기는 반드시 ‘역할’이 맞습니다!💡 2. 역활 – 잘못된..
-
이따가 있다가 – 의미와 쓰임 차이 정리 [한글 맞춤법 시리즈 19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9. 15:00
“방에 조금만 이따가 나갈게.” → ❌“지금은 바쁘니까 있다가 통화하자.” → ❌👂 둘 다 발음은 비슷하지만,‘이따가’와 ‘있다가’는 쓰임이 전혀 다릅니다.오늘은 이 두 표현을 정확하게 구별하는 법을 정리해 드립니다. 1. 이따가 – 시간 부사뜻: 조금 지난 뒤에, 나중에를 의미하는 부사 (나중에 조금 뒤에)바른 예시우리 이따가 영화 보자이따가 단둘이 얘기하자틀린 예시“지금은 바쁘니까 있다가 통화하자” → ❌→ 시간 경과 의미라면 '이따가'가 올바름말맛 TIP“조금 이따가”는 의미 중복!→ ‘이따가’ 자체에 이미 ‘조금 뒤에’라는 뜻이 포함돼 있습니다.💡 2. 있다가 – 동사 + 연결어미뜻: ‘있다’(상태) + 연결어미 ‘-다가’ (머무름 → 행동)바른 예시여기 있다가 갈게방에 있다가 나왔어틀..
-
아등바등 칠흑 느지막이, 아둥바둥 칠흙 느즈막이 - 구별법 [한글 맞춤법 시리즈 16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8. 08:01
아둥바둥 살아가는 기분이야.밖이 칠흙같이 어두워.오늘은 좀 느즈막이 일어났지 뭐야. 👂 누구나 쓰는 말 같지만, 아둥바둥·칠흙·느즈막이는 모두 ❌ 비표준어입니다.바른 표기는 아등바등·칠흑·느지막이예요.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이 세 표현을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 1. 아등바등 표준어, 아둥바둥 비표준어뜻: 필사적으로 애를 쓰며 버둥거리는 모양바른 예시아등바등 살아가는 삶이 지쳤어 ✅그는 아등바등 일만 하며 시간을 보냈다 ✅잘못된 예시“요즘 너무 아둥바둥 살아가는 기분이야” ❌→ 아등바등(O)말맛 TIP사전에는 ‘‘아등바등’만 표준어로 등재돼 있습니다.💡 2. 칠흑 표준어, 칠흙 비표준어뜻: 옻칠처럼 매우 짙고 어두운 상태바른 예시칠흑 같은 밤길이 무서웠다 ✅방 안은 칠흑처럼 깜깜했다 ✅잘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