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러나다 들어나다 – 자주 틀리는 표현 바로잡기 [한글 맞춤법 시리즈 8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4. 07:22
“속마음이 조금씩 들어나기 시작했어.”“그의 본심이 드러났다.”두 문장, 익숙하게 들리지만 맞춤법 기준으로는 전혀 다릅니다.‘드러나다’와 ‘들어나다’, 이 중 하나만 표준어입니다. 1. 드러나다 - 표준어 ‘드러나다’는 감춰진 것이 겉으로 나타나다는 뜻입니다.감정, 생각, 진심, 실체 등이 밖으로 드러날 때 쓰는 동사죠.어원: ‘드러내다’의 피동형품사: 동사예시 문장그의 진심이 드러났다.표정에서 감정이 드러났어. 2. 들어나다 - 비표준어 ‘들어나다’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말입니다.‘드러나다’를 잘못 듣거나, ‘들어내다’와 혼동해 생긴 비표준 표현입니다. ❌ 들어나다 = 존재하지 않는 단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없음 말맛 TIP: 이렇게 구분하세요! 표현, 의미, 표준어 여부💡 드러나다감..
-
굳이 구지 – 표준어와 발음 혼동 정리 [한글 맞춤법 시리즈 7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3. 20:10
“그걸 굳이 말해야 돼?”“구지 이렇게까지 해야 해?”두 표현, 자연스럽게 쓰지만 둘 중 하나는 틀린 표현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굳이’와 ‘구지’의 차이를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1. 굳이 - 표준어‘굳이’는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일부러 또는 고집스럽게 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부사입니다.품사: 부사어원: 형용사 ‘굳다’ → 부사형의미: 일부러, 꼭 필요 없지만 강조적으로 행동할 때예시 문장굳이 그렇게까지 안 해도 돼.나는 그 말을 굳이 하지 않았어.‘굳이’는 회화, 설명문, 서술문 어디서든 자주 쓰이는 표준 표현입니다.강조, 반어, 고집스러운 선택 등 다양한 문맥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됩니다. 2. 구지 - 비표준어‘구지’는 ‘굳이’를 빠르게 발음하면서 생긴 잘못된 표기입니다.실제 언중 사용이 있지만, 맞..
-
어이없다 어의없다 – 발음과 의미의 혼동 정리 [한글 맞춤법 시리즈 6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3. 07:33
“진짜 어의없어.”“어이없는 상황이네…”SNS나 댓글에서 자주 보이는 표현들이죠.하지만 ‘어의없다’는 존재하지 않는 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어이없다’와 ‘어의없다’의 차이를 명확히 정리해드립니다. 1. 어이없다 - 표준어‘어이없다’는 상황이 황당하거나 말문이 막힐 때 쓰는 표현입니다.품사: 형용사의미: 너무 놀랍거나 당황스러워 말이 안 나올 때상황 예: 예상 밖의 일, 억울함, 어처구니없음예시 문장이런 결과는 정말 어이없다.그는 너무 뻔뻔해서 어이없는 웃음만 나왔다.말맛 TIP:‘어이’는 감탄·상황 반응 표현에서 자주 쓰입니다.“어이쿠!” “어이없네…”💡 2. 어의없다 - 비표준어‘어의’는 ‘語義(말의 뜻)’ 또는 ‘御醫(왕의 의사)’처럼 한자어에서만 쓰이는 말입니다.‘어의없다’는 문맥상 맞지 않..
-
며칠 몇일 – 날짜 표현의 공식 표기 [한글 맞춤법 시리즈 5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3. 00:01
“며칠 걸릴까요?”“몇일 정도 예상하시나요?”이 두 표현, 무심코 섞어 쓰지만사실 맞는 건 ‘며칠’ 하나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날짜 표현에서 자주 틀리는‘며칠’과 ‘몇일’의 차이를 정확히 정리합니다. 1. 며칠 - 날짜 표현의 공식 표기‘며칠’은 ‘몇 + 일’이 합쳐져 굳어진 표준 표현입니다.국립국어원에 따르면 ‘며칠’만이 공식 인정된 표현입니다.💡 오늘이 며칠이에요?택배는 며칠 내에 도착할 예정입니다.기억 포인트‘며칠’은 날짜나 일정을 물을 때만 사용합니다.💡 수량 표현에는 ‘몇’을 씁니다.예: “사과 몇 개 있어요?” → ‘며개’ ❌ 2. 몇일 - 날짜 표현의 흔한 비표준어‘몇일’은 문법에도, 발음 관용에도 어긋난 표현입니다.‘며칠’로 굳어진 형태가 표준이며,‘몇일’은 국립국어원 기준 존재하지..
-
않다 안 하다 - 부정 표현 바로 쓰기 [한글 맞춤법 시리즈 4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2. 15:00
‘않다’와 ‘안 하다’,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와 쓰임은 다릅니다.않다는 보조 동사로 앞말(동사/형용사)을 부정하고,안 하다는 ‘하다’ 자체를 부정하는 표현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둘의 차이를 간단한 예시로 정리해 드립니다. 1. 않다 – 보조 동사로 붙여 씁니다용법 및 예시‘않다’는 앞 문장의 행위 또는 상태를 부정하는 보조 동사붙여 써야 정확합니다예시: “간다고 했지만 가지 않았다.”기억 포인트:‘않다’는 보조 동사이므로 앞 동사·형용사와 붙여 써야 합니다. 2. 안 하다 - 동작 자체를 부정합니다.용법 및 예시‘안’ + 동사 ‘하다’‘하다’를 포함한 행위를 부정예시: “나는 오늘 숙제를 안 했다.”요령:행위 자체, 습관, 선택 등을 부정할 땐 ‘안 하다’를 씁니다. 말맛 TIP: 이렇게 구분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