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이없다 어의없다 – 발음과 의미의 혼동 정리 [한글 맞춤법 시리즈 6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3. 07:33반응형
“진짜 어의없어.”
“어이없는 상황이네…”SNS나 댓글에서 자주 보이는 표현들이죠.
하지만 ‘어의없다’는 존재하지 않는 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어이없다’와 ‘어의없다’의 차이를 명확히 정리해드립니다.
‘어이없다’와 ‘어의없다’의 정확한 구분을 시각화한 한글 맞춤법 시리즈 6화 대표 이미지입니다. 올바른 표현과 잘못된 표현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체크마크와 X표, 감정 이모지로 시각적 정보를 강조했습니다.
1. 어이없다 - 표준어
‘어이없다’는 상황이 황당하거나 말문이 막힐 때 쓰는 표현입니다.
- 품사: 형용사
- 의미: 너무 놀랍거나 당황스러워 말이 안 나올 때
- 상황 예: 예상 밖의 일, 억울함, 어처구니없음
예시 문장
- 이런 결과는 정말 어이없다.
- 그는 너무 뻔뻔해서 어이없는 웃음만 나왔다.
말맛 TIP:
‘어이’는 감탄·상황 반응 표현에서 자주 쓰입니다.
“어이쿠!” “어이없네…”💡2. 어의없다 - 비표준어
‘어의’는 ‘語義(말의 뜻)’ 또는 ‘御醫(왕의 의사)’처럼 한자어에서만 쓰이는 말입니다.
‘어의없다’는 문맥상 맞지 않고, 존재하지 않는 표현입니다.- ❌ 어의없다 = 표준어 아님
- 🚫 의미도 문법도 부적절
반응형
말맛 TIP: 구별법 요약
표현 의미 맞춤법 어이없다 너무 황당하고 어처구니없음 ✅ 어의없다 ‘말의 뜻 없음’? → 말 안 됨 ❌ 맞춤법 퀴즈!
다음 중 맞는 문장은?
- 이건 정말 어의없다.
- 이건 정말 어이없다.
👉 정답: 2번!
‘어이없다’가 유일한 표준 표현입니다.
‘어의없다’는 존재하지 않는 말입니다.핵심 요약 카드
- 어이없다 = ✅ 표준어 / 황당함, 당혹감
- 어의없다 = ❌ 존재하지 않음
- ✔ 구별법: 감정 표현이면 ‘어이’, 한자어는 ‘어의’
한 줄 정리
‘어이없다’는 황당한 감정, ‘어의없다’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소리만 믿지 말고, 뜻을 생각해 써야 맞춤법에 맞습니다.✏️한글 맞춤법 시리즈를 대표하는 말맛연구소 캐릭터 입니다. 하얀 가운을 입고 연필과 책을 든 이 캐릭터는, 국어 블로그의 실용 글쓰기와 맞춤법 학습을 상징합니다. 다음 글 예고
🔜 굳이 vs 구지 – 표준어와 발음 혼동 정리 [한글 맞춤법 시리즈 7화]
👉 다음 편도 궁금하시다면,
말맛연구소를 구독하고 함께 맞춤법 실력을 키워보세요!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