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
Yesterday
-
Total
-
  • 않다 안 하다 - 부정 표현 바로 쓰기 [한글 맞춤법 시리즈 4화]
    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2. 15:00
    반응형

    ‘않다’와 ‘안 하다’,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와 쓰임은 다릅니다.

    • 않다는 보조 동사로 앞말(동사/형용사)을 부정하고,
    • 안 하다‘하다’ 자체를 부정하는 표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둘의 차이를 간단한 예시로 정리해 드립니다.

     

    ‘않’, ‘안’의 문장 내 기능을 직관적으로 비교해 보여주는 인포그래픽입니다. 붙여 쓰는 보조 동사와 띄어 쓰는 부정 부사의 차이를 강조합니다.
    ‘않’, ‘안’의 문장 내 기능을 직관적으로 비교해 보여주는 인포그래픽입니다. 붙여 쓰는 보조 동사와 띄어 쓰는 부정 부사의 차이를 강조합니다.


    1. 않다보조 동사로 붙여 씁니다

    용법 및 예시

    • ‘않다’는 앞 문장의 행위 또는 상태를 부정하는 보조 동사
    • 붙여 써야 정확합니다
    • 예시: “간다고 했지만 가지 않았다.”

    기억 포인트:

    ‘않다’는 보조 동사이므로 앞 동사·형용사와 붙여 써야 합니다.

     

    2. 안 하다 - 동작 자체를 부정합니다.

    용법 및 예시

    • ‘안’ + 동사 ‘하다’
    • ‘하다’를 포함한 행위를 부정
    • 예시: “나는 오늘 숙제를 안 했다.”

    요령:

    행위 자체, 습관, 선택 등을 부정할 땐 ‘안 하다’를 씁니다.

     

    반응형

     

    말맛 TIP: 이렇게 구분하세요!

    상황 질문 맞는 표현 설명
    상태 부정 그가 웃고 있었나? 웃지 않았다 보조 동사 ‘않다’ 사용
    행위 자체 부정 공부를 했는가? 공부 안 한다 ‘하다’를 부정, 안 하다 사용

     

     

    맞춤법 퀴즈!

    다음 중 맞는 문장은?

    1. 그녀는 말하지 않았다.
    2. 그녀는 말하지 안았다.

    👉 정답: 1번!
    ‘말하지 않았다’는 보조 동사 ‘않다’를 붙여 써야 정확한 부정 표현입니다.

     

    핵심 요약 카드

    • 않다 = ✅ 보조 동사 / 앞 동사·형용사를 부정 → 붙여 씀
    • 안 하다 = ✅ 부정 부사 + 하다 / 행위 자체 부정 → 띄어 씀
    • ✔ 기억법: ‘않다’는 붙여, ‘안 하다’는 띄어

    한 줄 정리

    앞 동사를 부정할 땐 ‘않다’,
    행위 자체를 부정할 땐 ‘안 하다’
    이 원칙만 기억해도 부정 표현은 틀릴 일이 없습니다.✏️ 

     

    연구복 복장과 연필 책 지우개로 표현한 말맛연구소 대표 캐릭터 - 말맛연구소 시리즈는 계속됩니다 라고 말하는 이미지 '한글 맞춤법 시리즈 4화 연재'
    한글 맞춤법 시리즈를 대표하는 말맛연구소 캐릭터 입니다.

    다음 글 예고

    🔜 며칠 vs 몇일 - 날짜 표현의 공식 표기 [한글 맞춤법 시리즈 5화]


    👉 다음 편도 궁금하시다면,
    말맛연구소를 구독해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