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따가 있다가 – 의미와 쓰임 차이 정리 [한글 맞춤법 시리즈 19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9. 15:00
“방에 조금만 이따가 나갈게.” → ❌“지금은 바쁘니까 있다가 통화하자.” → ❌👂 둘 다 발음은 비슷하지만,‘이따가’와 ‘있다가’는 쓰임이 전혀 다릅니다.오늘은 이 두 표현을 정확하게 구별하는 법을 정리해 드립니다. 1. 이따가 – 시간 부사뜻: 조금 지난 뒤에, 나중에를 의미하는 부사 (나중에 조금 뒤에)바른 예시우리 이따가 영화 보자이따가 단둘이 얘기하자틀린 예시“지금은 바쁘니까 있다가 통화하자” → ❌→ 시간 경과 의미라면 '이따가'가 올바름말맛 TIP“조금 이따가”는 의미 중복!→ ‘이따가’ 자체에 이미 ‘조금 뒤에’라는 뜻이 포함돼 있습니다.💡 2. 있다가 – 동사 + 연결어미뜻: ‘있다’(상태) + 연결어미 ‘-다가’ (머무름 → 행동)바른 예시여기 있다가 갈게방에 있다가 나왔어틀..
-
붓다 붇다 붙다 뜻 차이 – 헷갈리는 맞춤법 동사 [한글 맞춤법 시리즈 15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7. 17:00
“컵에 물을 붇고 티백을 넣었어.”“면이 오래돼서 다 불어버렸네.”“축하해줘. 나 시험에 붇었어!”👂 전부 자주 쓰는 말이지만, 사실은 ❌ 틀린 표현입니다. 오늘은 자주 틀리는 동사‘붓다’, ‘붇다’, ‘붙다’세 가지의 뜻 차이와 올바른 맞춤법을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이 세 동사는 발음이 비슷하고 쓰임도 비슷해 보여서 자주 혼동되지만,사실은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1. 붓다 – 액체나 가루를 따를 때 뜻: 액체나 가루 등을 컵·냄비 등 용기에 따르다올바른 예시물을 컵에 붓다커피 가루 위에 물을 붓고 기다렸다/ 부어 담았다.틀린 예시“물을 붇고 티백을 넣었다” → ❌→ 붇다(X) → 붓다(O) 2. 붇다 – 음식이 퍼져 부피가 커질 때 뜻: 물기를 머금어 퍼지거나 부피가 커지는 상태올바른 ..
-
낫다 낳다 낮다 - 헷갈리는 동음이의어 [한글 맞춤법 시리즈 10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5. 18:55
"병이 낳다", "감기가 낳다”“그게 더 낳은 방법이지.” "문제가 또 다른 문제를 낫다."“그 사람 키가 낫더라.”👂 들을 땐 자연스럽지만, 쓰면 ❌ 전부 틀린 표현입니다. 오늘은 자주 헷갈리는 동음이의어‘낫다’, ‘낳다’, ‘낮다’확실하게 구별해드립니다. 1. 낫다 - 병이 회복되다비교해서 더 나은 상태예시 문장병이 낫다. 병이 나았다. 감기가 낫다. 감기가 빨리 나았어 이게 더 나은 방법이야 ❌ 더 낳은 것 같아/ 더 낫은 것 같아 → 틀림 2. 낳다 - 출산 또는 결과를 만들어내다예시 문장아이를 낳다 성과를 낳다 ❌ 아이를 낫다. 성과를 낫다 → 틀림 3. 낮다 - 높이 수준이 아래일 때예시 문장키가 낮다 점수가 낮다 ❌ “그 사람 점수가 낫더라” → 높낮이 비교 의미에선 낮다가 맞습니다. 말..
-
어이없다 어의없다 – 발음과 의미의 혼동 정리 [한글 맞춤법 시리즈 6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3. 07:33
“진짜 어의없어.”“어이없는 상황이네…”SNS나 댓글에서 자주 보이는 표현들이죠.하지만 ‘어의없다’는 존재하지 않는 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어이없다’와 ‘어의없다’의 차이를 명확히 정리해드립니다. 1. 어이없다 - 표준어‘어이없다’는 상황이 황당하거나 말문이 막힐 때 쓰는 표현입니다.품사: 형용사의미: 너무 놀랍거나 당황스러워 말이 안 나올 때상황 예: 예상 밖의 일, 억울함, 어처구니없음예시 문장이런 결과는 정말 어이없다.그는 너무 뻔뻔해서 어이없는 웃음만 나왔다.말맛 TIP:‘어이’는 감탄·상황 반응 표현에서 자주 쓰입니다.“어이쿠!” “어이없네…”💡 2. 어의없다 - 비표준어‘어의’는 ‘語義(말의 뜻)’ 또는 ‘御醫(왕의 의사)’처럼 한자어에서만 쓰이는 말입니다.‘어의없다’는 문맥상 맞지 않..
-
않다 안 하다 - 부정 표현 바로 쓰기 [한글 맞춤법 시리즈 4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2. 15:00
‘않다’와 ‘안 하다’,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와 쓰임은 다릅니다.않다는 보조 동사로 앞말(동사/형용사)을 부정하고,안 하다는 ‘하다’ 자체를 부정하는 표현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둘의 차이를 간단한 예시로 정리해 드립니다. 1. 않다 – 보조 동사로 붙여 씁니다용법 및 예시‘않다’는 앞 문장의 행위 또는 상태를 부정하는 보조 동사붙여 써야 정확합니다예시: “간다고 했지만 가지 않았다.”기억 포인트:‘않다’는 보조 동사이므로 앞 동사·형용사와 붙여 써야 합니다. 2. 안 하다 - 동작 자체를 부정합니다.용법 및 예시‘안’ + 동사 ‘하다’‘하다’를 포함한 행위를 부정예시: “나는 오늘 숙제를 안 했다.”요령:행위 자체, 습관, 선택 등을 부정할 땐 ‘안 하다’를 씁니다. 말맛 TIP: 이렇게 구분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