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리다 띄어쓰기 붙여쓰기 - 공식 3단계! [한글 맞춤법 시리즈 31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8. 10. 07:10
드리다, 드립니다, 드릴게요, 드리겠습니다, 드렸습니다.앞말과 띄어써야 할지, 붙여써야 할지 헷갈린 적 있으신가요? 🤔드리다 띄어쓰기 붙여쓰기 공식 - 사실 원리는 간단합니다.앞말이 ‘명사’면 띄어쓰기, 앞말이 ‘동작(동사 어간)’이면 붙여쓰기! 공식 1단계: 앞말이 명사면 → 전부 띄어쓰기원리: ‘드리다’가 ‘주다’ 의미의 본용언이 됨활용형: 드리다 / 드립니다 / 드릴게요 / 드리겠습니다 / 드렸습니다 (모두 동일)바른 예시말씀 드리다도움 드립니다사과 드릴게요축하 드리겠습니다인사 드렸습니다말맛 TIP‘을/를’ 넣어서 어색하지 않으면 → 명사 + 드리다 → 띄어쓰기💡 예: 말씀(을) 드리다, 도움(을) 드리다 ✅ 공식 2단계: 앞말이 동사 어간이면 → 전부 붙여쓰기원리: ‘드리다’가 보조 용..
-
‘할 수 있다' 띄어쓰기 -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4종 [한글 맞춤법 시리즈 11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5. 21:01
"할수있어.”“너뿐이야.”“못할 이유는 없잖아.”“같이가자.”👂 말할 땐 자연스럽지만, 글로 쓰면 전부 ❌ 틀린 표현입니다. 오늘은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대표 표현들 –‘수’, ‘뿐’, ‘못’, ‘같이’, 그리고 헷갈리는 ‘못하다’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1. 할 수 있다, 볼 수 있다 – 가능성 표현 띄어쓰기 가능성 표현은 무조건 띄어 씁니다.‘할 수 있다’, ‘볼 수 있다’처럼 ‘수’는 의존 명사라서 반드시 띄어 써야 맞습니다.예시 문장너도 할 수 있어. 나는 그걸 볼 수 있다. ❌ 할수있어 / 볼수있다 → 틀림 2. 너 뿐이야, 할 뿐이다 – 제한 의미 띄어쓰기제한 의미일 땐 띄어 씁니다.'뿐'도 의존 명사입니다. 앞말과 항상 띄어 써야 맞습니다.예시 문장너 뿐이야, 나에겐. 보기만 할 뿐..
-
어떻게 어떡해 어떻해 – 감탄사와 의문사 구별하기 [한글 맞춤법 시리즈 2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1. 17:30
“어떡해~ 너무 놀랐어!” “어떻게 해결하지?”이 두 문장, 분위기도 다르고 의미도 다릅니다.‘어떻게’는 방법을 묻는 말이고,‘어떡해’는 감탄이나 당황을 표현하는 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둘의 문법적 정체와 쓰임 차이를정확하고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어떻게 - 방법 수단 상태를 묻는 말품사: 부사의미: 무엇을 어떻게 할지 물을 때예시: 이걸 어떻게 해결해야 하지? 2. 어떡해 - 감탄 당황 부탁의 구어 표현줄임말: ‘어떻게 해’ → ‘어떡해’상황: 놀람, 당황, 간청의 감정 표현예시: 아… 진짜 어떡해, 너무 놀랐어!정리하자면:‘어떻게’는 정식 품사로 의문사 역할,‘어떡해’는 말할 때 줄여 쓰는 비표준 표현이지만 관용적으로 자주 사용돼요. 3. 어떻해 – 비표준 표현 (틀린 말)정의: ‘어떻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