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리다 띄어쓰기 붙여쓰기 - 공식 3단계! [한글 맞춤법 시리즈 31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8. 10. 07:10반응형
드리다, 드립니다, 드릴게요, 드리겠습니다, 드렸습니다.
앞말과 띄어써야 할지, 붙여써야 할지 헷갈린 적 있으신가요? 🤔드리다 띄어쓰기 붙여쓰기 공식 - 사실 원리는 간단합니다.
앞말이 ‘명사’면 띄어쓰기, 앞말이 ‘동작(동사 어간)’이면 붙여쓰기!드리다 띄어쓰기·붙여쓰기 공식 [한글 맞춤법 시리즈 31화]
공식 1단계: 앞말이 명사면 → 전부 띄어쓰기
- 원리: ‘드리다’가 ‘주다’ 의미의 본용언이 됨
- 활용형: 드리다 / 드립니다 / 드릴게요 / 드리겠습니다 / 드렸습니다 (모두 동일)
바른 예시
- 말씀 드리다
- 도움 드립니다
- 사과 드릴게요
- 축하 드리겠습니다
- 인사 드렸습니다
말맛 TIP
‘을/를’ 넣어서 어색하지 않으면 → 명사 + 드리다 → 띄어쓰기💡
예: 말씀(을) 드리다, 도움(을) 드리다 ✅공식 2단계: 앞말이 동사 어간이면 → 전부 붙여쓰기
- 원리: ‘드리다’가 보조 용언이 되어 앞 동사를 높임
- 활용형: 드리다 / 드립니다 / 드릴게요 / 드리겠습니다 / 드렸습니다 (모두 동일)
바른 예시
- 도와드리다
- 알려드립니다
- 준비해드릴게요
- 안내해드리겠습니다
- 보여드렸습니다
말맛 TIP
동사 어간 = 동작 + 동작이 이어진 형태
예: 돕다 + 드리다 → 도와드리다알리다 + 드리다 → 알려드리다
‘을/를’ 넣어서 어색하면 → 동사 어간 + 드리다 → 붙여쓰기💡
예: 도와(를) 드리다 ❌, 알려(를) 드리다 ❌
반응형공식 3단계: 뉘앙스 차이 - 동작 분리, 높임 결합
- 정리해 드리다 (띄어쓰기)
→ ‘정리하다’와 ‘드리다’가 별개 동작 - 예: 정리한 뒤 건네드리다 = 자료를 정리해 드리다
- 정리해드리다 (붙여쓰기)
→ ‘정리하다’라는 하나의 동작에 높임이 결합 - 예: 정리라는 행위를 윗사람을 위해 해주겠다 = 자료를 정리해드릴게요
말맛 TIP
- 동작이 분리되면 → 띄어쓰기 (~한 후에 ~하다)
- 높임이 결합되면 → 붙여쓰기 (존칭 뉘앙스로 동작을 높여 드릴 때)💡
핵심 요약표 ① – 기본 규칙
구분 규칙 바른 예시 잘못된 예시 명사 + 드리다 띄어쓰기 말씀 드리다, 도움 드릴게요 ✅ 말씀드리다, 도움드릴게요 ❌ 동사 어간 + 드리다 전부 붙여쓰기 도와드리다, 안내해드리겠습니다 ✅ 도와 드리다,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핵심 요약표 ② – 뉘앙스 차이
구분 규칙 바른 예시 잘못된 예시 (의미 혼동) 동작 분리 띄어쓰기 정리해 드리다 ✅ 정리해드리다 (높임과 분리 혼동) ❌ 높임 결합 붙여쓰기 정리해드리다 ✅ 정리해 드리다 (높임과 분리 혼동) ❌
맞춤법 퀴즈
다음 중 바른 문장을 모두 고르세요.
- 내일 일정 말씀드립니다.
- 보고서를 바로 전달해드립니다.
- 도움드릴게요.
- 중요한 소식 말씀 드리겠습니다.
👉 정답: 2번, 4번
- 1번·3번: ‘말씀’, ‘도움’은 명사 → 띄어쓰기 필요
- 2번·4번: 각각 동사 어간+드리다(붙임) / 명사+드리다(띄움) → 맞음
한 줄 정리
'드리다' 앞말이 명사면 띄우고, 앞말이 동작이면 붙인다.
동작이 두 단계로 나뉘면 띄우고, 존칭 뉘앙스가 결합되면 붙인다.✏️-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4종 '할 수 있다' 공식! [한글 맞춤법 시리즈 11화]에서 확인하세요.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맞춤법을 알려주는 말맛연구소 캐릭터 다음 화 예고
🔜 [한글 맞춤법 시리즈 32화]에서 계속됩니다! ✍️
📚 맞춤법 정복! 말맛연구소 구독이 첫걸음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