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
Yesterday
-
Total
-
  • 거의 거이 거진, 발음과 맞춤법 차이 [한글 맞춤법 시리즈 38화]
    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8. 25. 18:15
    반응형

    거의, 거이, 거진 중에 어떤 게 맞는 말일까?”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이렇게 검색하거나 친구와 대화하며 헷갈립니다.

    발음은 분명히 '거이'인데, 맞춤법에서는 언제나 ‘거의’가 정답입니다.
    특히 블로그, 보고서, 시험 답안에서 ‘거이’라고 쓰면 단순 오타가 아니라 틀린 맞춤법으로 처리되지요.
    오늘은 이 혼동을 끝낼 수 있도록 ‘거의’와 ‘거이’의 차이를 깔끔히 정리합니다. 📌

     

    거의, 거이, 거진 중에 어떤 게 맞는 말일까를 알려주는 헷갈리는 한글 맞춤법 시리즈38화 대표 썸네일


    1. 거의 - 바른 표현

    • : 대부분, 전부에 가까운 상태.
    • 발음: [거이] (맞춤법상 ‘의’가 ‘이’로 소리 나는 경우)

    바른 예시

    • 오늘 숙제를 거의 다 끝냈다. ✅
    • 비가 거의 멎어서 산책하기 좋다. ✅
    • 그는 약속 시간을 거의 지켰다. ✅

    말맛 TIP

    👉 표기는 반드시 ‘의’, 발음은 [이]. 이 간단한 규칙만 기억해도 혼동이 사라집니다.

     

    2. 거이 - 잘못된 표현

    • 오류 원인: 실제 발음을 글자 그대로 적어 버린 경우.

    잘못된 예시

    • 숙제를 거이 다 했다. ❌
    • 오늘은 일이 거이 끝났다. ❌
    • 왜 틀릴까?
      국어 맞춤법은 언제나 발음을 그대로 적지 않고, 일정한 표기 규칙을 따릅니다.
      특히 ‘의 → [이]’ 발음은 “거의, 희망, 의미” 등에서 흔히 나오지만, 표기는 결코 바뀌지 않습니다.

    말맛 TIP

    👉 ‘거이’는 어디까지나 소리일 뿐, 글자로 쓰면 틀린 표현입니다.

     

    반응형

    3. 거진 – 구어에서는 쓰이지만 격식에서는 지양

    • : ‘거의’와 같은 의미(대부분, 거의 다). 주로 구어에서 쓰이는 부사.
    • 품사: 부사 (동음이의어로 한자어 ‘擧陣’도 있음 → ‘군사가 진을 치고 출전함’)

    바른 예시

    • 숙제를 거진 다 끝냈다. ✅
    • 손님이 거진 두 배로 늘었다. ✅

    잘못된 예시

    • 보고서 내용을 거진 정리했습니다. ❌ (격식 글에서는 ‘거의’ 사용 권장)

    말맛 TIP

    👉 국립국어원 사전에도 “구어에서 씀”이라고 표시되어 있어,

    말할 때는 자연스럽지만 보고서, 기사, 시험 답안 같은 격식 있는 글에서는

    반드시 ‘거의’를 쓰는 것이 안전합니다.
    👉 “거진(擧陣)”이라는 명사도 존재하지만,

    이는 군사용어로 일상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핵심 정리표


    구분 표기 발음 설명
    바른 표현 거의 [거이] 맞춤법 표기 ✅
    잘못된 표현 거이 발음대로 적은 오타 ❌

     

    맞춤법 퀴즈

    다음 중 올바른 문장을 고르세요.

    1. 숙제를 거이 다 끝냈다.
    2. 숙제를 거의 다 끝냈다.
    3. 오늘은 일이 거이 끝났다.

    👉 정답: 2번

    • 1번·3번은 발음을 그대로 적은 오타입니다.
    • ‘거의’만 맞춤법 표기이므로 언제나 ‘의’를 붙여야 합니다.

     

    ✏️ 한 줄 정리

    발음은 [거이]라도, 맞춤법은 언제나 거의가 정답이다.

     

     

    거의와 거이의 차이를 정리한 한글 맞춤법 시리즈 36화입니다. 말맛연구소 공식 캐릭터 이미지입니다.

     

    다음 화 예고

    🔜   [한글 맞춤법 시리즈 39화]에서 계속됩니다.

     

    📚 말맛연구소와 함께

    매일 헷갈리는 맞춤법을 정리해 보세요.

    올바른 글쓰기로 자신감을 키워보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