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따가 있다가 – 의미와 쓰임 차이 정리 [한글 맞춤법 시리즈 19화]한글 맞춤법·우리말 표현 2025. 7. 29. 15:00반응형
“방에 조금만 이따가 나갈게.” → ❌
“지금은 바쁘니까 있다가 통화하자.” → ❌👂 둘 다 발음은 비슷하지만,
‘이따가’와 ‘있다가’는 쓰임이 전혀 다릅니다.
오늘은 이 두 표현을 정확하게 구별하는 법을 정리해 드립니다.이따가, 있다가 -헷갈리는 표현 이미지 캡션
1. 이따가 – 시간 부사
- 뜻: 조금 지난 뒤에, 나중에를 의미하는 부사 (나중에 조금 뒤에)
바른 예시
- 우리 이따가 영화 보자
- 이따가 단둘이 얘기하자
틀린 예시
- “지금은 바쁘니까 있다가 통화하자” → ❌
→ 시간 경과 의미라면 '이따가'가 올바름
말맛 TIP
- “조금 이따가”는 의미 중복!
→ ‘이따가’ 자체에 이미 ‘조금 뒤에’라는 뜻이 포함돼 있습니다.💡
2. 있다가 – 동사 + 연결어미
- 뜻: ‘있다’(상태) + 연결어미 ‘-다가’ (머무름 → 행동)
바른 예시
- 여기 있다가 갈게
- 방에 있다가 나왔어
틀린 예시
-
- “방에 조금만 이따가 나갈게” → ❌
→ 머무른 뒤 동작이 이어지는 상황이므로 ‘있다가’가 맞음
- “방에 조금만 이따가 나갈게” → ❌
말맛 TIP
- 상태를 먼저 말하고 동작이 이어질 때 자연스럽습니다
- 구체적인 시간 수식어가 붙으면 더 명확합니다 → “10분 더 있다가”💡
반응형
핵심 정리
표현 품사 의미 적절한 문맥 이따가 부사 조금 지난 뒤에 “이따 봐”, “이따 통화해” 등 모호한 시간 있다가 동사+어미 머무른 뒤 다른 동작 연결 “여기 있다가 가”, “30분 있다가 시작” 맞춤법 퀴즈!
다음 중 올바른 문장은?
- 방에 조금만 이따가 나갈게
- 아무튼 있다 만나자
- 지금은 바쁘니까 이따가 전화할게
👉 정답: 3번 → 시간 경과 의미에는 ‘이따가’가 맞습니다.
한 줄 요약
‘이따가’는 시간 부사,
‘있다가’는 동사 연결형 표현입니다.헷갈릴수록 문맥이 답입니다. ✏️
헷갈리는 한글 맞춤법- 말맛연구소 다음 화 예고
🔜 기다릴게 vs 기다릴께 - 가장 많이 틀리는 오타 [한글 맞춤법 시리즈 20화]를 다룹니다.
👉 말맛연구소 구독하고,
헷갈리는 표현, 이제는 정확하게 써보세요!반응형